카테고리 없음

고대 시대의 돈: 교환에서 화폐로, 돈의 시작을 따라가다

뒈쥐털빠운쓰 2025. 6. 28. 19:14

우리가 오늘날 당연하게 여기는 ‘돈’은 사실 인류의 역사 속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진화해왔습니다. 지금부터 시대별 돈의 첫 번째 이야기로, 고대 시대에 돈이 어떻게 시작되었고, 어떤 방식으로 발전해왔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

💡 왜 고대 인류는 '돈'을 만들었을까?

생존에서 생겨난 교환의 필요

고대의 인류는 처음에는 물물교환(barter)으로 필요한 물건을 얻었습니다. 사냥을 잘하는 부족은 고기를 제공하고, 도구를 만드는 부족은 창과 칼을 교환했습니다. 그러나 곧 한계가 생겼습니다.

  • 물물교환의 문제점
    • 필요한 시점에 원하는 물건을 가진 상대가 없을 수도 있음
    • 가치 판단이 어려움 (예: 소 한 마리 = 몇 자루의 칼?)
    • 저장이 어려운 물품도 있음 (고기처럼 쉽게 상하는 것)

그래서 인류는 자연스럽게 공통된 교환 수단, 즉 ‘돈’의 원형을 찾게 됩니다.


🐚 최초의 돈은 무엇이었을까? (조개껍데기, 소금, 돌 등)

조개껍데기 돈의 시작

가장 오래된 화폐 중 하나는 조개껍데기입니다. 아프리카, 아시아, 오세아니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조개껍데기가 화폐로 사용되었습니다.

  • 모양이 일정하고 반짝이며, 채집에 시간이 걸려 희소성 확보
  • 쉽게 나누거나 휴대할 수 있었음

조개화폐는 심지어 중국 청나라까지도 사용되었으며, 수천 년간 화폐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놀랍습니다.

소금(Salt)과 소(牛)의 가치

Salary(월급)’의 어원이 **소금(salt)**에서 왔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  • 고대 로마에서는 군인들에게 소금을 지급하기도 했습니다.
  • 유럽 일부 지역에선 소금은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 자원이었기 때문에 화폐처럼 사용되었습니다.

한편, 고대 중동 지역에서는 소 한 마리가 ‘재산의 단위’였으며, 실제 화폐로 계산되기도 했습니다.


🔨 금속의 등장: 돈이 단단해지다

금속은 어떻게 돈이 되었을까?

기원전 3000년경,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지역에서는 청동, 은, 금 같은 금속이 교환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. 금속은 다른 물건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었습니다.

  • 내구성: 부패하거나 훼손되지 않음
  • 가치보존성: 시간에 따라 가치가 잘 변하지 않음
  • 희소성: 채굴이 어려워 함부로 만들 수 없음
  • 휴대성: 소량으로도 고가치 전달 가능

이 시기에 무게 단위에 따라 금속을 재고 거래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습니다. 즉, ‘돈’이란 것이 눈에 보이는 형태로 등장한 것이죠.


🏺 고대 문명별 화폐 체계는 달랐다

메소포타미아: 은(銀)의 시대

수메르인과 바빌로니아인들은 **은(銀)**을 무게 단위인 **세켈(shekel)**로 나누어 거래에 사용했습니다.

  • 문서에 기록된 계약서에도 "몇 세켈의 은"이 명시됨
  • 농작물, 노예, 가축 등 다양한 거래에 활용

이집트: 곡물과 금속의 혼용

이집트에서는 보리곡물 단위가 주된 교환 수단이었으며, 파라오의 명령으로는 금속 막대기 형태의 돈도 사용되었습니다.

  • 곡물은 풍작/기근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, 안정적인 금속으로 전환되는 추세
  • 고대 이집트인들은 무게와 양에 매우 민감했기 때문에 화폐 기준이 엄격했음

⚖️ 돈이 되기 위한 조건, 고대인들은 어떻게 판단했을까?

고대 문명에서 ‘돈’으로 쓰였던 것은 공통적으로 다음 조건들을 충족했습니다.

조건설명
희소성 흔하지 않아야 가치가 있음
내구성 오랫동안 보관 가능해야 함
휴대성 들고 다닐 수 있어야 함
분할 가능성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있어야 함
동일성 기준이 통일되어야 거래 가능
 

이러한 조건을 충족한 것이 바로 금속 화폐였고, 이로 인해 이후 진짜 ‘화폐’가 본격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.


⏳ 마무리하며: 돈의 시작은 단순한 교환 그 이상이었다

고대 시대의 돈은 단순한 물건을 주고받는 수준을 넘어서 신뢰, 약속, 권위, 제도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. 어느 순간부터 ‘물건’이 아닌 ‘가치의 저장 수단’으로 발전한 것이죠.

다음 편에서는 이러한 돈이 **고대 제국의 화폐 시스템(주화, 은화, 금화 등)**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.